“2020 SEOUL MICE ON”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 MICE 산업의 미래방향 모색
- 서울관광재단, 매년 개최하는 “SEOUL MICE WEEK”, 올해부터 새로운 이름으로 개최
- 11월 19일(목), 하이브리드 형태, 화상 참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더 많은 참여 기회 제공
- ‘서울 MICE 토크콘서트’, ‘PLUS CITIES, 경험을 플러스하다’, ‘고민 STOP, 해결 START 관광·MICE 기업특강’, ‘SMA 연례회의’ 세션으로 구성
□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(대표이사 이재성)은 “2020 SEOUL MICE ON”을 오는 11월 19일(목) 플로팅 아일랜드 컨벤션에서 하이브리드 형태로 온라인 생중계한다.
○ 마이스(MICE)는 기업회의(Meeting), 포상관광(Incentive Tour), 국제회의(Convention), 전시회(Exhibition)를 일컫는 말이다.
□ “SEOUL MICE ON‘은 매년 개최하던 ’SEOUL MICE WEEK’의 새로운 이름으로 MICE에 관련된 모든 이들과 지속가능한 서울의 MICE를 위해 MICE에 대해 생각하고(ON) 함께 움직여(MOVING ON), 앞으로 나아가자는 의미를 담았다.
□ 이번 “SEOUL MICE ON”은 ‘위드 코로나 시대 MICE 산업 미래방향 모색’이라는 주제로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팬데믹 상황을 이해하고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영감과 아이디어를 나눌 예정이다. 특히 “서울 MICE 토크콘서트”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MICE의 미래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룰 계획이다.
□ 그 첫 번째는 글로벌전략정책연구원 홍대순 원장이 “MICE를 통한 국격 제고와 新 국부 창출”을 통해 새로운 국부 창출 기회이자 대한민국 국격 제고에 있어서 중요한 MICE 산업에 대하여 총체적인 시각에 기반한 미래전략 4가지 아젠다를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.
□ 두 번째는 <우리는 취향을 팝니다>의 저자 이경미 작가가 오프라인을 주요 매개체로 진행하던 MICE 산업에 코로나19가 불러온 공간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과 참가자가 원하는 특별한 경험의 공간의 사례를 “MICE 산업에서 공간의 역할”이란 내용으로 얘기한다.
□ 세 번째는 한겨례 신문 구본권 IT 저널리스트가 인공지능 자동화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MICE 산업의 활로 모색을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지 “AI 비대면 사회의 과제와 MICE산업”에 대해 강의한다.
□ 이외 MICE 업계 종사자들을 위한 타·시도 MICE 인프라 및 관광콘텐츠를 소개하는 ‘PLUS CITIES, 경험을 플러스하다’, 관광·MICE 기업 대표님들을 위한 경영에 필요한 세무, 노무, 법률 강연 ‘고민 STOP, 해결 START 관광·MICE 기업특강’ 및 “서울MICE얼라이언스(SMA)” 연례회의가 연이어 개최된다.
○ PLUS CITIES란 각 시도별 체험 지원 프로그램의 신규 브랜드로 서울특별시, 광주광역시, 강원도가 연계하여 MICE 유치를 위한 다양한 공동마케팅을 펼치고 있다.
○ 서울MICE얼라이언스(SMA)는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이 서울의 MICE 산업 육성을 위해 2011년 6월 설립한 MICE 민관협력체로 컨벤션센터, 호텔, 국제회의기획자(PCO), 여행사 등 MICE 업계 10개 분야 약 300개사가 가입되어 MICE 유치를 위해 공동협력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.
□ 이번 “SEOUL MICE ON”은 위드 코로나 시대에 발맞춰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되며 화상 참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더 많은 시민과 학생, MICE 업계 관계자들과 함께 미래방향을 고민하고 모색하여 코로나19로 침체된 MICE 업계의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.
□ MICE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11월 19일(목) 서울관광재단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생중계된다. (https://www.youtube.com/c/stotv)
※ 붙임 1. 2019 SEOUL MICE WEEK 사진 2매.
2. 2020 SEOUL MICE ON eDM 2매. 끝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