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관광재단 SEOUL TOURISM ORGANIZATION

자료실

보도자료
(19-031)대만은 쥐포, 홍콩은 치즈소시지, 태국은 소주 “좋아요!”
작성일 2019-05-03
조회 2958

대만은 쥐포, 홍콩은 치즈소시지, 태국은 소주 “좋아요!”


   - 서울관광재단, 주요 방한 국가 10개국 대상 서울관광 검색어 트렌드 분석

   - 서울을 여행 중인 관광객의 주요 검색어는 경복궁, 인사동 등 유명 관광지

   - K-wave 등 한국 관련 주요 관심사 키워 상위는 방탄소년단, 김치, 태권도

   - 대만에서는 쥐포, 홍콩에서는 치즈소시지, 태국에서는 소주가 ‘요즘 인기’

   - 국가별 ‘떠오르는 키워드’에 여신강림, 단발, 손편지, 새해 여행 등 이색 키워드

 

□ 서울관광재단(대표이사 이재성)은 주요 방한 국가 10개국을 대상으로 한국 및 서울 관광과 관련된 검색어 트렌드를 조사했다.

  ○ 방한 상위 10개국(중국, 일본, 대만, 미국, 홍콩, 태국, 필리핀, 베트남, 말레이시아, 러시아), 시장 점유율 1위 검색엔진(바이두, 구글, 얀덱스) 주요 검색어 트렌드 조사

      ※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8년 입국관광통계 기반 방한 상위 10개국 선정

      ※ ‘19년 2월 스테트카운터 제공 수치 기반 검색엔진 시장점유율 조사

□ 국가별 방한 추이와 검색 트렌드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, 2016년부터 지난 3년간 한국 및 서울 관광에 대한 검색량은 꾸준히 증가하였고, 검색량이 증가하면 방한 관광객 수 또한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  ○ 외부요인(사드·북핵 이슈)이 컸던 2017년의 경우 검색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방한 관광객 수는 감소함.

  ○ 한국 및 서울 관광에 대한 검색량은 2016년 약 25백만 건, 2017년 약 28백만 건, 2018년 약 33백만 건으로 연평균 약 15%씩 성장했으며, 연도별 방한 관광객은 2016년 약 14백만 명, 2017년 10백만 명, 2018년 12백만 명을 기록했다.

□ ‘검색 목적’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‘여행정보(50.4%)’가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‘관광지(19.6%)’, ‘항공(11.4%) 순으로 나타났다. ’검색 목적‘을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중국 ‘쇼핑장소(62.3%)’, 러시아 ‘여행정보(75.5%)’에 대한 검색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국가별 여행패턴과 관심사의 차이가 검색 결과에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눈길을 끌었다.

  ○ 국가별 검색 추이는 6개 카테고리(여행정보, 관광지, 쇼핑장소, 맛집, 숙박, 항공)기준 정보 검색결과를 토대로 분석했다.

□ ‘검색 시점’에 따른 관심사 차이도 나타났는데, 날씨·항공권· 숙박 등 ‘여행정보’에 대한 검색은 주로 방한 전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, 방한 중에는 주로 경복궁, 인사동, 동대문, 명동 등 유명 ‘관광지’를 검색한 것으로 나타났다. 

□ 국가별 K-Food 관심 키워드를 조사한 결과, 필리핀 ‘삼겹살’, 베트남 ‘비빔밥’등 잘 알려진 한국 먹거리를 시작으로 대만 ‘쥐포’, 홍콩 ‘치즈소시지’, 태국 ‘소주’등 한국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 

□ 또한, 한국 관련 관심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가장 높은 검색량을 보인 ‘인기 키워드’로는 방탄소년단, 김치, 태권도, ‘떠오르는 키워드’로는 서울 패션 사진 여행과 서울에서 아이와 할 만한 일이 상위를 차지하였고, 

   국가별 이색적인 키워드로는, ⓛ 대만 ‘닐로(한국 가수)’, ‘여신강림(네이버 웹툰)’, ‘한국 단발(헤어스타일)’ 키워드가 검색량 상위를 차지했고 ② 필리핀 ‘육아 예능에 출연한 대한·민국·만세(삼둥이)’, ③ 태국  논현동, ④ 홍콩 손편지, ➄ 베트남 새해여행 키워드가 검색량 상위를 차지했다.

□ 서울관광재단 스마트관광팀 황미정팀장은 “최근 개별여행객(FIT)이 증가하면서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직접 관광정보를 수집하고 여행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”라고 말하며 “이러한 변화에 발맞춘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관광업계 및 유관기관이 해외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세분화된 타깃 마케팅을 추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.”고 말했다.

□ 이번 조사 결과의 세부적인 자료는 국문 서울관광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. (korean.visitseoul.net)

http://korean.visitseoul.net/announcements/2019-서울관광-글로벌-검색트렌드-리포트/3083?curPage=1